본문 바로가기
Book

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

by Soono991 2023. 4. 16.
 

1%의 네트워크 원리 | Tsutomu Tone - 교보문고

1%의 네트워크 원리 |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 (2nd Edition(개정1판 10쇄))이 책만큼 네트워크의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한 책은 없다! 이 책은 네트워크 기술을

product.kyobobook.co.kr

챕터

  •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- 웹 브라우저의 내부 탐험
  • TCP/IP의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만들어 보낸다 - 프로토콜 스택과 LAN 어댑터의 탐험
  • 케이블의 앞은 LAN 기기였다 - 허브와 스위치, 라우터의 탐험
  • 액세스 회선을 통해 인터넷의 내부로! - 액세스 회선과 프로바이더의 탐험
  • 서버 측의 LAN에는 무엇이 있는가· - 방화벽과 캐시 서버의 탐험
  • 웹 서버에 도착하여 응답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로 돌아간다 - 불과 몇 초인 '긴 여행'의 끝

 

메모

더보기
디스크립터는 컴퓨터 한 대의 내부에서 소켓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지만, 포트 번호는 접속 상대측에서 소켓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,

-p88

 

 ICPM는 패킷을 운반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통지하거나 제어용 메시지를 통지할 때, ARP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이더넷의 MAC 주소를 조사할 때 사용합니다.

-p104

 

LAN 케이블로 사용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(꼰 선쌍)에는 이러한 잡음의 영향을 억제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는데, 이것이 '꼼'입니다. '트위스트 페어(꼰 쌍)'라는 말은 두 가닥의 신호선을 한 조로 하여 마주 꼬았다는 데서 붙인 이름으로, 신호선을 마주 꼬아서 잡음을 막을 수 있습니다.

-p201

 

터널링은 소켓과 소켓 사이를 연결하는 TCP의 커넥션(연결 장치)과 비슷합니다. TCP 커넥션의 한쪽 출입구(소켓)에서 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가 그대로의 모습으로 반대쪽 출입구에 도착하는데, 터널링은 이것과 같습니다. 즉 한쪽의 터널링 출입구에서 헤더를 포함한 패킷 전체를 넣으면, 이것이 헤더를 포함하여 그대로의 모습으로 반대쪽 출입구에 도달합니다. 네트워크 안에 터널이 만들어지고, 그 속을 패킷이 통과한다는 식입니다.

-p296

 

'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발자 원칙  (0) 2023.04.21
개발자의 글쓰기  (0) 2023.04.21
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  (0) 2023.04.08
그림으로 배우는 HTTP & Network Basic  (0) 2023.04.08
커리어 스킬  (0) 2023.03.26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