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스크립터는 컴퓨터 한 대의 내부에서 소켓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지만, 포트 번호는 접속 상대측에서 소켓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,
-p88
ICPM는 패킷을 운반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통지하거나 제어용 메시지를 통지할 때, ARP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이더넷의 MAC 주소를 조사할 때 사용합니다.
-p104
LAN 케이블로 사용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(꼰 선쌍)에는 이러한 잡음의 영향을 억제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는데, 이것이 '꼼'입니다. '트위스트 페어(꼰 쌍)'라는 말은 두 가닥의 신호선을 한 조로 하여 마주 꼬았다는 데서 붙인 이름으로, 신호선을 마주 꼬아서 잡음을 막을 수 있습니다.
-p201
터널링은 소켓과 소켓 사이를 연결하는 TCP의 커넥션(연결 장치)과 비슷합니다. TCP 커넥션의 한쪽 출입구(소켓)에서 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가 그대로의 모습으로 반대쪽 출입구에 도착하는데, 터널링은 이것과 같습니다. 즉 한쪽의 터널링 출입구에서 헤더를 포함한 패킷 전체를 넣으면, 이것이 헤더를 포함하여 그대로의 모습으로 반대쪽 출입구에 도달합니다. 네트워크 안에 터널이 만들어지고, 그 속을 패킷이 통과한다는 식입니다.
댓글